[그래픽 뉴스] 재난지원금 효과<br /><br />어제(20일) 통계청이 2분기 가계 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가 휩쓸고 간 가계 경제, 그나마 재난지원금이 있어서 버텼다는 말이 통계로도 여실히 드러났는데요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 입니다.<br /><br />가계소득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는 근로소득과 사업소득, 재산소득입니다.<br /><br />통계청의 가계 동향조사 결과, 지난 2분기 동안 전국의 2인 이상 가구에서 이 세 항목의 소득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이런 트리플 감소는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3년 이후 처음인데요.<br /><br />그만큼 가계 경제가 악화됐다는 뜻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이 결과와 달리 총소득은 527만2,000원, 지난해보다 4.8%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각각의 항목의 소득이 줄었는데 어떻게 해서 총소득은 늘어난 걸까요?<br /><br />바로 이 공적 이전소득이 지난해 34만1,000원에서 77만7,000원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이전소득이란 생산활동에 직접 기여하지 않고 벌어들인 수입을 말합니다.<br /><br />이전소득 중 정부로부터 받는 공적 이전소득이 크게 늘어난 이유, 바로 '재난지원금'이 지급됐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근로·사업·재산소득이 동시에 감소하는 극한의 상황에서 재난지원금이 큰 힘이 된 셈입니다.<br /><br />재난지원금은 저소득층에서 더 큰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소득 1분위, 즉 하위 20% 가구의 월평균 공적 이전소득은 83만3천원으로 월평균 소득 177만7천원의 절반에 가까워 소득이 8.9% 증가하는 데 기여한 반면, 소득 5분위인 상위 20% 가구의 경우 공적 이전소득으로 매월 75만원을 받았지만, 월평균 소득이 1,000만원을 넘는 만큼 소득 증가율로는 반영되지 않아 소득이 2.6% 느는 데 그쳤습니다.<br /><br />177만원과 1천3만원, 소득 격차가 커 보이지만 이 역시 긴급재난지원급 덕분에 그나마 개선된 것으로 나타납니다.<br /><br />소득 5분위 배율로 알 수 있는데요.<br /><br />소득 5분위 배율은 5분위 고소득층의 소득이 1분위 저소득층 소득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수치가 내릴수록 양극화가 개선됐다는 뜻입니다.<br /><br />공적 이전소득을 포함한 2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4.23배로 지난해보다 0.35배 포인트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5년 만에 가장 낮게 집계된 건데요.<br /><br />반면 공적 이전소득을 제외한 5분위 배율은 올해 8.42배로 1년 전 7.04배보다 크게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재난지원금이 없었다면 소득 분배 불균형이 더 심화했을 거라는 반증입니다.<br /><br />지난 5월, 여러 논란 끝에 전 국민에게 지급된 긴급재난지원금, 가구당 평균 77만7,000원이 지급되면서 그 효과가 꽤 컸던 것으로는 나타났지만 3분기부터는 재난지원금의 '마법'이 사라지게 됩니다.<br /><br />가계 소득이 다시 줄고 양극화가 심화할 수 있는 만큼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한 추가적인 대책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